2. 혈소판제제(Platelets)
가. 혈소판제제 수혈의 목적
혈소판 성분을 보충하여 지혈을 하거나 출혈을 예방한다.
나. 혈소판제제 수혈의 원칙
1. 출혈이 없는 안정상태: 혈소판수를 10,000~20,000/uL 이상으로 유지한다.
2. 출혈은 없으나 불안정상태: 혈소판수를 20,000~50,000/uL으로 유지한다.
3. 활동성 출혈이 있거나 침습적인 처치를 시행하는 경우: 혈소판수를 50,000~100,000/uL으로 유지한다.
4. 혈소판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경우
다. 혈소판제제 수혈 시 주의사항
1. 20~24℃에서 교반 하면서 보관한다.
2. 실온에서 보관하는 제제이므로 세균오염에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3. 혈소판제제는 수혈용 표준혈액필터가 있는 수혈세트를 통해 환자에게 주입되어야 한다.
4. 혈소판동종면역(platelet alloimmunization): 혈소판수혈불응증 참조
5. 적혈구동종면역(red cell alloimmunization): 혈소판제제에 남아 있는 일부 적혈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여아 및 가임 연령의 RhD음성 여성에게 RhD음성 혈소판이 부족하여 RhD양성 혈소판을 투여해야 하는 경우에는 Rh 면역글로불린을 사용하여 동종면역을 예방할 수 있다.
라. 검사실 수치 기준과 별도로 혈소판제제 수혈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임상상황
1. 혈소판수의 지속적인 감소가 예상되는 경우
2. 발열, 백혈구증가증, 패혈증, 응고계 이상, 항암치료, 약물 등 혈소판 수나 기능의 이상이 초래되는 상황
3. 응급검사가 신속히 시행되기 어려운 경우
4. 태아나 신생아 수혈
5. 혈소판 수혈에도 불구하고 출혈이 지속되는 경우
6.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추적관찰이 어려운 외래환자
7. 그 외 임상적으로 혈소판 수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마. 혈소판제제 수혈의 대안들
1. 주요 출혈 시(24시간 동안 환자의 전체 체내혈액량의 출혈, 또는 3시간 동안 50% 이상의 체내혈 액량의 출혈, 또는 분당 150 mL 이상의 출혈), 특히 산부인과적 출혈, 대량 출혈이 예상되는 외 상이나 심장수술, 척추수술에서는 수혈을 최소화하기 위한 tranexamic acid 등 약제의 사용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2. 혈소판감소증 환자에게 응고장애(coagulopathy)가 동반되어 있는 경우 응고장애 교정을 시행 한다.
3. 출혈이 있거나 출혈 위험성이 있는 외상 환자에게 조기에 tranexamic acid를 투여한다.
4. 수술 환자에서 500 mL 이상 실혈이 예상되는 경우 금기증이 존재하지 않는 한 tranexamic acid를 사용한다.
5. 골수부전에 의한 만성 혈소판감소증 환자에서 치료적 혈소판 수혈의 대안이나 추가제로서 tranexamic acid를 투여한다. 6. 수술이나 외상에 의한 심각한 출혈에서 혈중 섬유소원(fibrinogen) 농도가 < 150 mg/dl 인 경 우 섬유소원(섬유소원농축제제 또는 동결침전제제)을 투여한다.
7. 면역혈소판감소증(ITP, Immune thrombocytopenia) 환자에게 thrombopoietin receptor agonist를 사용한다.
바. 혈소판제제 부적절한 사용의 예
1. 자가면역혈소판감소증(autoimmune thrombocytopenia)
2. 혈전성혈소판감소성자색반병(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3. 용혈성요독증후군(hemolytic uremic syndrome)
4, 헤파린유발혈소판감소증(heparin induced thrombocytopenia)
단, 위와 같은 경우에도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이 동반된 경우에는 혈소판제제 수혈의 적응증이 된다.
사. 혈소판제제 적정 투여량 및 투여 방법
1. 혈소판 수혈 직후의 예측 혈소판 증가수(uL)
수혈된 혈소판 수 2
= ------------------------------- × ----
순환혈액량(mL) × 10³ 3
2. 농축혈소판 수혈 속도는 1단위를 약 30분 이내에 투여되도록 하며, 체중 25 kg 이하의 소아에 서는 20~30 mL/kg/hr의 속도로 투여한다.
3. 성분채혈혈소판 수혈의 속도는 환자가 불편해하지 않는 선에서 증감하여 조정이 가능하나, 4시 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경우 1 단위를 30~60분에 걸쳐서 투여한다.
4. 농축혈소판 한 단위 수혈 시 예상되는 혈소판 수의 증가량은 70 kg 성인의 경우 5,000~10,000/ μL, 18 kg 소아에서는 20,000/μL 정도 된다. 치료적인 목적의 수혈 시 성인에서의 1회 표준 투 여량은 3.0 ×10 ¹¹개 이상의 혈소판을 포함하는 성분채혈혈소판 1 단위(또는 농축혈소판 6~8 단위)이며, 성분채혈혈소판 1 단위 수혈 시 30,000~60,000/μL의 혈소판 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출혈 예방을 위한 수혈 시에도 성분채혈혈소판 1 단위 표준 투여량을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1~3 일마다 반복 투여할 수 있다.
5. 신생아 및 유아에서는 흔히 10 mL/kg의 용량으로 수혈을 시행할 수 있으며, 5~10 mL/kg의 혈 소판 수혈을 통해 50,000~100,000/μL의 혈소판 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6. 수술 전 아스피린이나 다른 항혈소판제제를 복용 중이라면 가능한 경우 일시적으로 약물 투여를 중단한다.
아. 혈소판수혈불응증
1. 혈소판 수혈 후 수혈의 효과를 판단하는 지표로 흔히 ‘교정 혈소판 수 증가(corrected count increment, CCI)’를 계산하여 확인한다.
표면적이 1.5 m2 인 성인에게서 3.0 × 1011개의 혈소판 수혈이 이루어졌고, 수혈 전후 혈소판 수가 각각 10,000/μL, 40,000/μL이었다면, CCI는 15,000이 된다. 임상적으로 안정된 환자의 경우 수혈 종료 1시간 뒤 CCI가 7,500, 24시간 뒤 CCI가 4,500 이상이면 수혈의 효과가 충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2. 혈소판 수혈 후 10~60분 이내에 CCI 평가
1) 주로 면역기 전에 의한 혈소판 파괴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비장비대, 대량출혈, 다수의 비면역학적 요인이 동반된 경우(패혈증, 응고장애, 이식편대숙주병, 간정맥폐쇄질환)에 도 감소할 수 있다. 수혈 후 1시간 CCI가 두 번 이상 연속으로 5,000~7,500 미만이면 혈소판 동종면역에 의한 혈소판수혈불응증을 의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람백혈구항원(human leukocyte antigen, HLA) 또는 사람혈소판항원(human platelet antigen, HPA)에 대한 항 체가 있는지 검사하고, 항체가 존재하는 경우 HLA 또는 HPA 적합 혈소판제제의 사용을 권장한다.
2) 다회 혈소판 수혈이 예상되는 환자에서는 항-HLA 항체의 형성으로 인한 혈소판수혈불응증 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수혈 초기부터 혈소판 동종면역을 예방하기 위해 백혈구여과제 거 혈소판제제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
3. 혈소판 수혈 후 1~24시간 이내에 CCI 평가
1) 주로 비면역기 전(패혈증, 비장비대, 발열, 파종혈관 내 응고)에 의한 혈소판 수명 감소를 평가할 수 있다. 수혈 종료 1시간 CCI는 7,500 이상이었지만 24시간 CCI가 4,500 미만인 경우, 비 면역기 전에 의한 혈소판 수명 감소를 의심할 수 있다.
출처: 제5판 수혈가이드라인
'NURSE > Transfus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혈액제제별 수혈지침 Ⅴ - 신선동결혈장제제 (0) | 2025.03.17 |
---|---|
2. 혈액제제별 수혈지침 Ⅳ - 혈소판제제② (0) | 2025.03.17 |
2. 혈액제제별 수혈지침 Ⅱ - 적혈구제제② (0) | 2025.03.16 |
2. 혈액제제별 수혈지침 Ⅰ - 적혈구제제① (0) | 2025.03.16 |
1. 수혈 전반에 관한 일반지침 Ⅴ - 특수 상황에서의 수혈③, 자가수혈 (0) | 2025.03.16 |